top of page

WAF-6
바람 분석
850hPa 유선속을 통해 전체적인 바람계를, 상하층 제트의 위치를 통해 커플링 유무를 확인했다.
유선속

하층제트 & 상층제트
우리나라 서해상에서 해당 구역의 u-wind cross section을 확인해보았다. 데이터를 처리할 때 u-wind 성분만을 사용했기 때문에 200hPa 발산 보조일기도에서 보이는 제트 구역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 하층제트는 전선 남쪽에 위치하여 전선을 북상시킨다. 상층제트는 6/30부터 7/2까지 제주도 남쪽 해상에서 북진하고 장마가 시작되는 7/3부터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머무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아래에 있는 그림은 100hPa 아래 대기에서 풍속 35m/s 이상 구역을 3차원 지도에 표시한 것이다.


3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