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안정도 분석

850hPa 상승속도, KI 지수, TTI 지수를 통해 강수와 뇌우의 강도를 알아보고,

OLR 영상을 통해 장마 전후 대류의 변화를 살펴본다.

​상승속도

700 상승속도 gif.gif
Cross section 구역

TTI 지수

​장마가 있기 전인 6월 30일부터 7월 2일은 00UTC TTI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6/30

0603.png
​6월 30일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46 이상
을, 충청과 강원도 일부까지 42 이상의 TTI 지수를 보이고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50 이상의 구역이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이날은 서울과 강원도에 20mm 이상의 비가 내린 곳이 있었다.​

7/1

0701.png
​7월 1일은 강원도를 중심으로 46이상, 전라도와 경상도 일부, 제주도를 제외하고 42 이상의 TTI를 보였다. 이날은 강원도와 전라북도에 강수구역이
있었다. 48 이하의 TTI는 약한 뇌우 강도에 해당하며, 실제로도 약한 비가 내렸다.

7/2

0702.png
7월 2일은 이전과 비교해 TTI 지수가 높지 않았고, 실제로도 일부 지역에만 아주 약한 비가 내렸다. 

KI 지수

장마가 있었던 7월 3일 이후는 00UTC KI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0630~0701.gif
7월 3일은 전라북도, 제주도, 전라남도 남부 지역이 KI 25 이상 구역에 해당된다. 특히, 장마전선이 올라오며 제주도 남쪽에서
부터 KI 40 이상
의 구역이 다가오는 것이 확인된다.

7월 4일은 장마전선을 동반한 온대저기압이 한반도 동쪽으로 이동했다. 따라서 KI 35 이상의 구역도 온대저기압의 형상을 따라 분포하고, 한반도 전역은 25 이상의 KI 지수를 갖는 것이 확인된다. 온대저기압의 형상을 따라 한반도 전역이 25 이상의 KI 지수를 갖는 것이 확인된다.

7월 5일은 한반도 남쪽의 장마전선이 다시 북상하면서 제주도
부근에 40 이상의 높은 KI 지수
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된다. 

7월 6일은 5일에 이어 장마전선의 영향을 계속해서 받으면서
남부지방 일부까지 25 이상의 KI 지수가 나타난다.

OLR(Outgoing Longwave Radiation)

​*분석기준 : 우리나라

6/30

00UTC 대부분 240 W/m^2 이하

12UTC 대부분 지역이 240 W/m^2 이상

장마 이전에는 6월 30일 00UTC와 7월 2일 00UTC에 대부분의 지역에서 비교적 약한 대류를 보였다.
장마 시작 이후에는 7월 4일 낮에 온대저기압이 빠져나감에 따라 장마의 영향에서 벗어났을 때를
제외하면 모든 자료에서 활발한 대류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bottom of page